1. 기준 데이터 및 통계 출처
본 순위는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(2025년 5월 기준)와 수도권(서울·인천·경기) 통계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했습니다. 수도권 전세가격 지수 상승률은 0.04%~0.07% 수준으로 집계되었으며, 서울은 매주 0.07% 안팎, 인천·경기는 평균 0.04% 안팎입니다.
2. 전세가 상승률 높은 수도권 지역 TOP 5
- 서울 강남·송파구 등 주요 학군/역세권
2025년 들어 전세가격 지수 0.07%대 상승, 핵심 학군과 교통망 통합 영향으로 안정된 수요 유지 - 인천 일부 자치구 (예: 연수구·서구)
신규 입주 감소와 교통 호재, 공급 부족 영향으로 전셋값 꾸준히 오름세 - 경기 과천·수원 일부 지역
재건축 호재와 교통망(교통 연계 고속도로, GTX) 영향으로 전세 상승세 - 서울·경기 교통망 개선 지역(예: 노원, 성동)
지하철·광역철도 연결 확대 및 재개발 기대감으로 전세 수요 급증 - 경기 신도시 주변(예: 고양·구리)
GTX 등 교통호재 기대감, 신축 아파트 부족 현상으로 매물 품귀
3. 상승 요인 분석
- 공급 부족: 수도권 입주물량 감소와 갱신권 사용 연장 영향
- 교통 호재: GTX, 지하철 신설/연장, 재건축·재개발 호재
- 학군 및 생활 인프라: 주요 학군과 편의시설 밀집지역은 수요 안정
- 전세→월세 전환 증가: 전세매물 감소로 가격 급등 유인
4. 실거주자와 투자자 시사점
실거주자: 교통, 학군, 문화 인프라 등 장기 거주 적합성 고려. 5% 이상의 고속 상승 지역은 월세 전환 가능성도 열어둬야 합니다.
투자자: 전세가 상승이 매매 가격 상승의 선행 지표일 경우가 많습니다. 다만 단기 투자보다 중장기, 환금성과 입주 계획까지 함께 판단해야 합니다.
5. 주의사항 및 리스크
- 입주 물량 증가 시 단기 가격 하락 가능
- 전세 매물 급감 시 월세 전환 속도 증가
- 금리 상승 시 전세대출 부담 및 월세 수요 압박
- 단기 투자 사례로 인식 시 시장 과열 우려